뉴스
 

본문 : 인벤 - 이두현 기자

 

0000179263_001_20250204161617335.jpg

▲ e스포츠 표준안 관련 정책토론회(2024)

 

정부가 국제 e스포츠 대회 개최 및 운영에 대한 표준안을 마련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e스포츠협회(KeSPA, 이하 케스파)를 통해 표준안을 추진한다. 이 분야에서 앞서나가는 중국을 우리나라가 뒤쫓는 형국이다.

케스파 측은 "e스포츠 종주국인 대한민국은 본 연구를 통해 성공적인 국제 대회 개최와 운영을 위한 지침을 ISO(국제표준화기구) 표준으로 제안하고자 한다"며 "이는 국제 e스포츠 대회의 원활한 개최와 신뢰성 있는 운영을 지원하며, 빠르게 성장하는 e스포츠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중국은 이미 ISO에 표준화 제안서를 제출했다. 더불어민주당 강유정 의원실에 따르면 중국은 2024년 1월 ISO 기술위원회(TC83)에 제안서를 제출하고, 5월 35개 회원국의 투표를 거쳐 중국의 제안서가 채택됐다. ISO 내에 표준안 작성을 위한 실무그룹(WG12)도 신설되었다. 중국은 WG12 의장 자리를 확보해 표준안 작성 주도권을 쥐었다.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강유정 의원은 "중국이 국제 e스포츠 대회의 규칙, 운영 방식, 경기장 설계, 선수 관리 등 e스포츠 산업 전반에 걸쳐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며 "표준화는 e스포츠 경기 규칙, 대회 운영, 경기장 설계, 선수 관리 등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기준, 국제 대회에서 중국 기준이 적용될 경우 한국 e스포츠는 중국에 종속될 수 있다"라고 경고했다.

케스파는 연구를 통해 △국제 e스포츠 대회 구성 요소 및 지침 마련 △ISO 표준 방법론 적용 △ISO 표준 문서 개발을 추진한다. 기존 이벤트 표준(ISO 20121)을 참고하되, 국제 e스포츠 대회만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독립적인 표준 문서로서의 필요성과 차별성을 명확히 제시할 계획이다. 또한, 표준 문서 최종 결과물을 영문으로 작성한다. 이어 ISO에 제안하는 게 목표다.

지난 2024 지스타 때 열린 e스포츠 정책토론회에서 한국e스포츠산업학회 송석록 학회장은 "정부는 e스포츠 발상지이자 유무형의 유산과 가치를 지닌 국가로 미래를 선도하고 방향을 제시할 책무를 지니고 있다"며 "e스포츠 표준화 및 올림픽e스포츠게임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에 대한 전략과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표준을 준수하는 기업은 신뢰성을 확보, 시장에서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며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표준화 문제를 우리나라가 주도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이두현 Biit@inven.co.kr

TOP